반응형
🔑 1. 국가장학금 확대 – 등록금 부담 완화
1-1. 국가장학금Ⅰ유형(소득연계형)
- 대상: 소득구간 9구간 이하 대학생 (2025년부터 8구간 → 9구간까지 지원 확대)
- 지원혜택:
- 기초·차상위: 등록금 전액 지원
- 1~3구간: 연 최대 570만 원(학기당 285만 원)
- 4~6구간: 연 최대 420만 원
- 7~8구간: 연 최대 350만 원
- 9구간: 연 최대 100만 원
- 신청기준: 재학생은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 이수, 평점 80점 이상(B학점) 이상
- 신청방법:
- 한국장학재단 온라인(www.kosaf.go.kr)
- 연 1~2회(1차·2차) 기간 내 가능
1-2. 국가장학금Ⅱ유형(대학 자율형)
- 대상: 대학 자율 기준 적용 (대체로 9구간 이하)
- 혜택: 대학별 장학 예산 범위 내 지원
- 신청방법: 대학 공지사항 확인, 한국장학재단 신청
1-3. 다자녀 국가장학금
- 대상: 다자녀 가구의 대학생(연령 제한 폐지)
- 혜택:
- 첫째·둘째 자녀: 기존Ⅰ유형 동일 혜택
- 셋째 이상: 8구간 이하 전액, 9구간 연 200만 원
1-4. 혜택 정리표
-구간/대상 -최대 지원액(연)
기초·차상위 | 전액 등록금 |
1~3구간 | 570만 원 |
4~6구간 | 420만 원 |
7~8구간 | 350만 원 |
9구간 | 100만 원 |
다자녀(셋째↑) | 전액 or 200만 원 |
🏫 2. 근로장학금 – 일과 학업 병행 지원
- 제도: 학기 중 주당 최대 20시간 대학 또는 공공기관 근로
- 대상: 소득 8~9구간 이하 대학생
- 2025년 변경점
- 교내 시급: 9,860원 → 10,030원
- 교외 시급: 12,220원 → 12,430원
- 대상 확대: 14만 명 → 20만 명
- 신청방법: 한국장학재단 온라인 신청 → 대학 배치
💰 3. 학자금대출 및 이자지원
3-1. 학자금대출
- 형태: 등록금·생활비 대출
- 2025년 주요 개선
- 고정금리 1.7% 유지(5년째)
- 생활비 대출 한도: 연 350만 → 400만 원
3-2. 이자감면 및 상환유예
- 감면 대상: 소득·성적기준 충족 시 상환 중 이자 감면 가능
- 취업 후 상환제도: 소득 발생 전까지 유예 가능
- 신청처: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
🏠 4. 주거 지원 – 안정적인 대학생활
4-1. 주거안정장학금
- 대상: 기초·차상위·저소득 대학생 거주자
- 혜택: 연 최대 240만 원 (월 20만 원 × 12개월)
4-2. 청년 월세 지원
- 대상: 만 19~34세 대학생 포함, 중위소득 60% 이하
- 지원액: 월 20만 원×12개월, 최대 240만 원
4-3. 전세보증금 대출 지원
- 혜택: 전세자금 저금리 대출
- 2025년 동향: 지원 범위 확대, 1~2%대 금리 유지
🎓 5. 입학지원금·신입생 지원
- 신입생 입학지원금 :
- 국가장학금Ⅰ 유형과 연계
- 지자체 별도: 서울·경기·부산 등 50만 ~ 300만 원 수준
- 신청방법: 한국장학재단·지자체 교육청별 온라인
💼 6. 취업준비생 지원·취업 장려금
- 구직지원금: 월 50만 원 × 6개월 청년 도약 지원금
- 국민취업지원제도: 청년 취업 활동비 및 임금 지원
- 취업장려금: 중소기업 정규직 채용 시 기업·개인 대상 지원
🚀 7. 창업·연구지원
7-1. 청년 연구자 장학금
- 석사: 월 150만 원, 박사: 월 200만 원 연구장려금
- 저소득 우수 연구자 1,000명 연 500만 원 지원
7-2. 청년 창업지원
- 창업 초기자금 최대 1억 원, 멘토링·공간 지원
- 미국/캐나다 대학생 대상 1,500~5,000불 장학금
🛠 8. 생활 지원·기타 정책
- 디지털교과서·학습자료 무료 제공
- 온라인 강좌(K-MOOC), 학술자료 접근지원
- 금융·신용 상담·관리 서비스 현장 및 온라인 제공
📋 9. 신청 방법 & 일정 정리
-제도 -신청처 -주요 일정 -구비서류
국가장학금 | 한국장학재단 | 1학기,2학기별 | 가족정보, 소득·재산증빙 |
근로장학금 | 한국장학재단 → 대학 | 학기 시작 전 | 근로신청서 등 |
학자금대출 | 한국장학재단 | 연중 / 마감 있음 | 재학증명서 등 |
주거·월세 | 복지로 | 상시 | 임대차계약서, 통장 |
입학지원금 | 장학재단·교육청 | 신·편입생 시기 | 입학증명서 |
취업지원 | 고용센터·워크넷 | 상시 | 구직신청서 |
창업/연구 | 관련 재단·기관 | 공고 별도 | 사업계획서, 성적증명서 |
📌 10. 마무리
-2025년 대학생 여러분은 이제 단순 장학금뿐만 아니라 주거, 생활, 취업·창업까지 다층적 지원 시스템을 통해 더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.
🎯 실천 체크리스트:
- [ ] 국가장학금 Ⅰ·Ⅱ 유형 신청하기
- [ ] 근로장학금 신청으로 생활비 마련
- [ ] 학자금대출 계획 수립
- [ ] 월세·주거비 정책과 연동
- [ ] 취업·창업 관련 장학 및 수당 적극 활용
*지금 공식 홈페이지(한국장학재단·복지로·고용센터 등)에 접속해
신청 가능 여부와 기한을 반드시 확인하세요.
*공유 많이 해 주시면 더 많은 대학생에게 유익한 정보가 될 거예요 😊
반응형
'잘벌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임산부를 위한 정부 지원정책 총정리 : “임신부터 출산까지—임산부 필수 지원정보 완전 가이드” (4) | 2025.07.03 |
---|---|
2025년 신혼부부 정부 지원정책 총정리 (7) | 2025.07.03 |
2025년 중·고등학생을 위한 정부·지자체 지원정책 총정리 (2) | 2025.07.03 |
2025년 육아휴직 급여 인상 및 제도 개편 총정리 (3) | 2025.07.03 |
2025년 태아·영유아 정부 지원정책 총정리 (3) | 2025.07.03 |